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5년
봄 정기 학술대회
▶ 일시: 2025년 4월 19일 토요일 오전 10: 30시 ~ 오후 5시 40분
▶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세마홀 (지하1층)
▶ 주최: (사)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원과 연구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춘래불사춘, 우려스러운 시국에도 불구하고 미술사 연구는 나아갑니다.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에서는 이번에 모두 열 분의 발표자를 모시고 봄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깎거나 그려내어 마음을 형상화하는 것은 미술의 본령입니다. 1부에선 세 분의 발표자들이 근현대의 전각, 판화, 회화의 문제를 탐구합니다. 여성은 여전히 미술사의 첨예한 키워드입니다. 2부에서는 19세기 인도 여성에서 조각가 김윤신까지 여성의 활동과 이미지를 되새겨 봅니다. 3부에서는, 재현에서 개념까지 한국 현대미술에 전개된 치열한 방법적 모색을 성찰해 봅니다. 과연 인공지능 미술의 미래는 어떻게 전개될까요?
이번 학회에서는, 이제 막 학문적 여정을 시작한 젊은 연구자들부터 오랜 연륜과 경험의 학자들까지 모두 한자리에 모여 학술적 도전을 감행합니다. 풍성하게 마련된 이번 학술대회에 여러분의 따뜻한 격려와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올림
□ 학회 프로그램 □
1부 근현대미술에서 형상의 탐구 사회: 전용근(서울대학교) | ||
10:30-10:40 |
개회사 |
신수경(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 |
10:40-11:10 |
이병현의 판화 연구 |
이은진(명지대학교) 토론: 홍성후(한국미술사연구소) |
11:10-11:40 |
일제강점기 전각을 통해서 본 한·일 서화가의 교류 |
이안나(명지대학교) 토론: 김영욱(간송미술관) |
11:40-12:10 |
1980년대 형상미술과 한강미술관 |
이윤수(홍익대학교) 토론: 김종길(경기도미술관) |
12:10-13:40 |
점심 시간 및 연구윤리교육 | |
2부 여성, 미술, 페미니즘 사회: 허나영(목원대학교) | ||
13:40-14:10 |
김윤신의 목조각 연구 |
김이순(홍익대학교) 토론: 최태만(국민대학교) |
14:10-14:40 |
1990년대 부산화단의 페미니즘 개입과 실천: 《페미니즘 아트, 세계 해석의 독자성》과 《여성·역사》 전시를 중심으로 |
고경옥(경기과학기술대학교) 토론: 김정은(홍익대학교) |
14:40-15:10 |
타자의 여성 그리기: 인도 회사 양식 회화에 나타난 인도 여성 |
구하원(서울대학교) 토론: 이영지(한국뉴욕주립대학교) |
15:10-15:40 |
휴식시간 | |
3부 재현과 개념 사이, 한국 현대 미술의 성찰 사회: 서유리(서울대학교) | ||
15:40-16:10 |
불완전한 시각성의 탐구: 1970년대 곽덕준과 한국의 개념적 미술 |
전수강(서울시립미술관) 토론: 조수진(근현대미술연구소) |
16:10-16:40 |
눈에서 몸으로: 1980년대로의 전환기 그룹 서울 ’80의 사진, 회화, 현상학 |
장은담(서울대학교) 토론: 문혜진(서울대학교) |
16:40-17:10 |
김범의 다매체적 작업에 내재된 회화의 개념적 확장: 포럼A의 논의를 중심으로 |
권화영(이화여자대학교) 토론: 장승연(홍익대학교) |
17:10-17:40 |
초상과 가면: 인공지능 미술에서 얼굴의 재현과 이미지의 디지털 주권 |
민경소(서울대학교) 토론: 장선희(홍익대학교) |